본문 바로가기

최종편집일 2023-09-22 17:58

  • 라이프 > 기획취재

[청년기획⓶]청년, 영주를 말하다

청년들이 생각하는 '영주'에 대해 알아본다

기사입력 2021-06-30 17:21

페이스북으로 공유 트위터로 공유 카카오 스토리로 공유 카카오톡으로 공유 문자로 공유 밴드로 공유
0

영주시의 인구가 104,012(2020년 하반기 기준)으로 10만 붕괴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인구의 감소와 노령화인구의 증대로 지방의 존재 자체가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전체인구의 18%(18,683)를 차지하고 있는 청년 인구에 대한 기대가 그 어느 때 보다 크다.

 

미래를 이끌어갈 지역 청년들의 어려움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그들이 정착을 도울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인식에 따라 본 사는 일자리, 생활환경, 청년청책 등 청년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듣기 위해 20세 이상 39세 이하의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영주시의 청년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무엇일까?

 


이번 설문조사에 따르면 현재 영주 청년들이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은 일자리와 생활비 마련, 주거비용 등 경제적인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자리 및 창업의 길은 찾는 데 정보가 충분하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청년이 78%로 나타나 각종 일자리 정보들이 청년들에게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일자리와 관련해서 지원되길 희망하는 정책에 대해 전문자격 교육기관 확충, 기업유치, 공공기관의 청년 인턴제 등 다양한 의견을 들을 수 있었다.
 

 

경제적인 문제 다음으로는 문화활동 기회의 부족으로 나타나 지역에서 청년들이 문화 활동을 즐길 수 있는 시스템이 열악하다는 점을 말해주고 있다. 지역 청년들은 다양한 여가 생활을 원하고 있으며 특히 문화체험, 예술창작, 취미교실 등 실제로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는 문화공간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청년들은 문화 및 여가생활을 즐기지 못하는 이유로 여가시설 부족과 정보 부족을 꼽았다지역 문화 단체에 청년들의 설자리가 없다는 의견도 많아 청년들을 위한 문화 단체와 커뮤니티가 필요해 보인다.

 

 

 

영주시는 청년들에게 살기 좋은 곳인가?
 


학업이나 직장 등으로 인해 영주로 유입되는 청년인구가 약 57%로 과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비해 영주가 살기 좋은 도시라는 생각과 그렇지 않다는 생각이 비슷하게 나타나 지역 사회의 노력이 더 필요해 보인다.
 

 

일자리가 충족된 상태가 대부분인 기혼 청년의 경우에는 유아 의료에 대한 환경이 열악한 점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아이들의 육아에 대해서는 지역 사회가 모두가 함께 동참하고 고민해야 할 부분이다.

두 아이를 키우고 있는 정지윤(축산업)은 "영주에는 아기를 출산할 수 있는 병원과 아기가 아플 때 갈 수 있는 유아전문병원이 부족하다" 며 "유아를 위한 의료체계가 좀 더 확보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

 

인구 10만의 영주는 소멸위기도시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청년들이 지역에 남아 정착할 수 있는 방안을 청년들의 목소리를 통해 알아보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영주인터넷방송 박태완 기자 (iybc365news@naver.com)

댓글0

스팸방지코드
0/500